[뉴있저] '짠테크'·'적금 오픈런'...고물가·고금리 시대, 달라진 돈의 흐름 / YTN

2022-06-17 41

요즘 너나 할 것 없이 지갑 열기 힘들죠.

당장 피부로 와 닿는 먹거리나 외식 물가는 물론이고, 가스·전기요금 같은 공과금마저 끊임없이 오르고 있는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6.7% 상승했습니다.

이만큼이나 오른 건 무려 13년 10개월 만입니다.

이렇게 지갑 사정이 팍팍해지다 보니 이제 '플렉스'나 '욜로'같은 말은 자취를 감추고, 이른바 '짠테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재테크에 '짜다'는 단어를 더한 '짠테크', 불필요한 소비와 낭비를 줄이고 꼭 필요한 곳에 지출한다는 의미인데요.

알뜰한 소비와 함께 자투리 돈도 티끌 모으듯 열심히 모아가는 겁니다.

가장 쉬운 '짠테크' 수단 중 하나는 걷기만 해도 하루 최대 100원까지 적립해주는 '앱'서비스입니다.

60원, 100원. 자잘해 보이는 액수지만 한두 달 지나면 금세 몇천 원씩 모인다는데요.

폐기를 앞둔 음식을 싸게 파는 마감 할인 제품들도 인기입니다.

편의점들이 앞다퉈 마감 할인 제품을 자체 앱에 올리고 있는데요. 업체 입장에서는 폐기 비용을 덜고, 소비자는 싸게 구매해서 좋고, 환경에도 보탬이 되는 일석삼조 서비스입니다.

이렇게 고금리·고유가·고물가 3중고 속에 소비 트렌드가 바뀌고 있는데요.

이 중에 특히 고금리 때문에 고민인 분들도 계시죠?

주택담보대출이 7%를 돌파하면서 "대출 이자가 자고 나면 오른다"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3억 원을 30년 원리금 균등분할 방식으로 빌렸다면 매달 갚아야 할 원리금이 201만 원이나 돼, 대출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전의 양면처럼 예·적금 금리 역시 오르면서 3%대 예금 상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경제가 불안해지자 자금이 주식 같은 위험자산에서 예·적금으로 이동하고 있는데요.

6% 적금 상품 같은 경우 판매 몇 시간 만에 마감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면서 예·적금도 '오픈런'이 필요하다는 말까지 나오죠.

그렇지만 이런 고금리 상품들이 내세우는 금리를 다 받으려면 우대금리 조건이 붙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모바일 등에서만 판매하거나 모바일뱅킹 이체 실적 등을 요구하는 건데요.

때문에, 이런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은 소외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밖에, 당분간 금리가 계속 오를 거라는 전망 속에 더 높은 금리의 예·적금 상품을 기다리며 눈치를... (중략)

YTN 윤보리 (ybr0729@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617194604649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